본문 바로가기
수화통역사시험

(수화자격증)수화통역사 시험 참고자료

by 수화애 2023. 6. 23.
반응형

 

 

 

 

다음 표는 언어학의 주요 하위영역에 대한 설명이다.


인류언어학(Anthropological Linguistics)
언어와 문화 사이의 내적인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특히 비서구 문화와 사회에 관한 분야)


응용언어학(Applied Linguistics)
언어교수, 국가언어정책, 사전편집, 번역, 정치학이나 광고 법정 등과 같은 영역의 언어에 대한 응용적인 분야


역사언어학(Historical Linguistics)
시간의 흐름에 따른 언어의 변화나 각 언어 사이의 관계에 관한 분야


형태론(Morphology)
작은 의미 단위(형태소)로 구성되는 단어들의 구성방법에 관한 분야


신경언어학(Neurolinguistics)
언어의 산출, 지각, 획득에서의 뇌의 기능에 관한 연구 분야


음성학(Phonetics)
음성의 조음, 음성의 물리적인 속성, 음성지각방법에 관한 연구 분야

음운론(Phonology)
언어의 음성체계, 부호화 과정에서 언어에서 사용되는 특별한 음성과 다른 언어와의 비교를 통한 차이에 관한 분야


화용론(Pragmatics)
화자와 청자 사이에서 시간, 장소, 사회적인 관계와 청자의 신념에 관한 화자의 가정 등에 따라 변하는 의미에 관한 분야


심리언어학(Psycholinguistics)
언어와 인지구조의 내적 관계, 언어의 획득에 관한 분야


의미론(Semantics)
의미에 관련된 분야로 단어와 문장이 사물이나 환경에 관련되는 방법에 관한 분야


사회언어학(Sociolinguistics)
언어와 사회구조의 내적 관계, 언어학적 변인, 언어에 대한 태도에 관한 분야


구문론(Syntax)
문장이 구성되는 방식, 문장이 다른 문장과 관련되는 방식에 관한 분야

 

2) 수어소

수어소(手語素, chereme)는 Stokoe에 의해 사용된 용어로 음소(phoneme)에 상응하는 용어이다. Stokoe 등(1976)은 수어소에는 수형(19), 수위(12), 수동(24)이 있다고 하였다. 그 후 Battison(1978)에 의해 장향(掌向)이 추가되었고 Klima와 Bellugi는 스토우키의 3요소를 주매개변수라 하고, 여기에 손의 방향, 손의 접촉점, 양손 관계를 부매개변수라 하였다(김칠관, 1999). 일반적으로 ASL에서는 수형(handshape), 수위(location), 수동(movement), 장향(orientation), 비수지신호(nonmanual signals)의 5가지 수어소로 본다(Valli, Lucas, 2000).

(2) 수형에 기초한 의미

① 주먹을 쥔 손 모양의 수어 기호는 ‘다부짐’의 표현을 나타낸다.

② 1지만 펴서 세운 손 모양의 수어 기호는 ‘남성’ 또는 ‘사람’의 표현을 나타낸다.

③ 자연스럽게 편 손 모양의 수어 기호는 ‘강직형’과의 직접적 유사관계를 지니고 있다.

④ 약간 구부린 손 모양의 수어 기호는 대개 ‘고(苦)’와의 직접적 유사관계를 지닌다.

⑤ 주먹을 쥐고 2지만 편 손 모양의 수어 기호는 ‘지시’ 또는 ‘하나’의 의미로써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회초리’와 ‘지휘봉’을 의인화하여 이루어진 수어도 많이 있다.

⑥ 검지와 중지만 붙여 편 손 모양의 수어 기호는 ‘중립성’을 의미하거나, 또한 여러 가지 다른 의미를 나타낸다.

⑦ 주먹을 쥐고 새끼손가락을 편 손 모양의 수어 기호는 ‘여성’ 또는 ‘약함’을 의미한다. 또한 ‘부정적 의미’로서 많이 쓰이고 있다.

⑧ 주먹을 쥐고 엄지와 검지만 편 손 모양의 수어 기호는 ‘시간’의 의미를 많이 의미한다.

⑨ 주먹을 쥐고 엄지는 펴고 검지만 약간 구부린 손모양의 수어 기호는 ‘견고형’ 표현에 많이 쓰인다.

⑩ꡐ○ꡑ와 같이 둥글게 쥔 손모양의 수어 기호는 ‘돈’ 또는 ‘경제’를 의미한다.

⑪ 엄지와 검지만 접촉하고 나머지는 손바닥에 접촉한 손모양의 수어 기호는 ‘치밀성’을 의미한다.

⑫ 2345지를 구부려 1지와 2지를 접촉시킨 손모양의 수어 기호는 ‘건조형(乾燥型)’을 의미한다.

⑬ ‘ᄆ’자와 같은 손 모양의 수어 기호는 대개 ‘판단의 의도’에 많이 쓰인다.

⑭ ‘X’자와 같은 손 모양의 수어 기호는 ‘비도덕적 경향’ 또는 ‘겸허한 자세’의 의미로써 많이 쓰인다.

⑮ 주먹을 쥐고 엄지와 새끼손가락을 편 손 모양의 수어 기호는 ‘사람’의 의미로 많이 쓰이며, 엄지와 중지만 붙였다가 튕기는 손 모양의 수어 기호는 대개 ‘일관성’과의 직접적 유사관계를 지닌다.

 

 

김승국(1982)은 한국 수어의 기호를 분석하고 수어의 기호 구성 방법에는 지사(指事), 모방(模倣), 상형(象形), 형지(形指), 형동(形動), 회의(會意), 전주(轉注) 등 7가지가 있다고 하였다. 다음은 각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다.

(1) 지사(指事) - 단어가 의미하는 것, 단어가 의미하는 대상․성질 또는 상태를 연상하게 하는 것, 단어가 의미하는 것을 상징하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예, 나, 빨강, 지식)

(2) 모방(模倣) - 단어가 의미하는 동작을 흉내내는 것(예, 꼬집다, 눈물, 말하다)

(4) 상형(象形) - 단어가 의미하는 대상의 형체나 그 형체의 변별 자질을 손이나 손가락으로 나타내는 것(예, 얼굴, 산, 솥)

(5) 형지(形指) - 단어가 의미하는 대상의 형체를 만들어 보이고 그것을 가리키는 동작을 해 보이는 것(예, 비탈, 모퉁이)

(6) 형동(形動) - 단어가 의미하는 대상의 형체나 그 일부를 만들어 그 대상이 하는 동작을 해 보이는 것(예, 잠자리)

(7) 회의(會意) - 둘 이상의 형태소를 합쳐 다른 의미를 가지는 단어의 기호를 만드는 것(예, 간판)

(8) 전주(轉注) - 기존 기호의 의미가 전이되어 다른 뜻을 가진 단어의 기호로 사용되는 것(예, 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