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격증6

수화 자격증 수화통역사 시험 기출문제 정리 한국어의 이해, 장애인복지, 청각장애인의 이해, 수화통역의 기초, 기초수화 수화통역사 기출문제를 바탕으로 정리함 1회 장애인 복지 1. 장애인의 날 설립 배경 - 장애인에 대한 국민의 이해 증진 2. 장애인복지법의 목적 - 장애인 복지증진에 대한 기여 3. 유엔이 정한 세계장애인의 해 - 1981년 4. 장애인 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 - 장애인의 의무고용제를 규정 2회 8번 : 목적 : 직업 재활과 직업 안정의 도모 5. 장애인복지법 시행령이 제정 공표된 해 - 1990년 2회 6번 : 장애인복지법 제정 : 1989년 2회 7번 : 장애인 고용의무제 시행 :1991년 2회 42. 우리나라가 특수교육진흥법 제정 - 1977 6. 청각장애인보장구 - 보청기 7. 자립훈련비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자립.. 2023. 6. 23.
수화 자격증 국제회의 통역에의 초대 국제회의 통역에의 초대 - 서 론 - 우선 번역과 통역의 차이를 보면 ① 번역: 문어(文語) 텍스트를 다른 문어 텍스트로 변환하는 것. 분석과정을 거쳐 다른 언 어로 재표현 되는 아이디어는 문어 텍스트라는 항구적 형태에 담겨 나타남. 정적이고, 변형이 불가능하며, 시간적으로 고정되어 있음. 텍스트 외적 요소의 도움을 받을 수 없이 문어텍스트에 나타나 있는 것을 대상으로 작업해야 한다는 제약을 가짐. 번역자는 알지 못하는 번역독자를 위해 번역작업을 함. ② 통역: 구어(口語) 텍스트를 또 다른 구어 텍스트로 변환하는 것. 연사 및 청중과 같은 공간에 있으면서 구어 텍스트를 다룸. 표현형태가 아닌 의미로 전달. 통역사의 발화속도는 번역사의 작업속도에 비해 30배가 빠름. 통역의 유형에는 순차통역과 동시통역이.. 2023. 6. 23.
수화 자격증 수화 통역사 시험 자료 청각 장애인의 이해 - 1부 - 1강 농인에 대한 이해 1. 청각의 작용과 소리의 개념 ․소리: 물리적 진동으로서 공기를 통해서 이동 ․소리의 이동 경로 : 외이(음의 수집)→중이(물리적 진동을 기계적 소리로 전환)→유스타키오관(유동 성진동으로 전환)→내이→청신경→소리로 인지 ․주파(Hz): 초당 소리 진동의 수축과 이완 수, 절대적인 단위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소리의 범위: 20-20,000Hz ․사람의 일상적인 말에 필요한 소리의 범위: 400-3,000Hz ․소리의 강도(dB): 소리의 상대적인 크기(세기)를 나타내는 단위 ․소리의 강도 0dB 정상적인 사람이 소리를 감지하는 역치 50dB 조용한 시골 85dB 조용한 사무실 110dB 비행기 객실 120dB 불쾌감을 느끼는 수준 140dB 제트엔진 실험실 내부, 인.. 2023. 6. 23.
수화통역사시험 참고서 요약 수화통역 기본참고서 통역자의 자질 : 융통성, 객관성, 자기제어, 시간엄수, 책임감 1. 수화체계 미국수화(ASL) : 문법과 어휘를 가진 엄연한 언어, 지화 사용이 적다. 영어와는 다르며, 스랑스 수화언어와는 관계 있다. *‘RIGHT'의 여러 가지 뜻을 표시하는 미국수화는 세가지 수화 1)혼합수화 영어(PSE) : 자연발생적 변형들을 총칭 - 수화영어, 수화로 표현된 영어, Siglish, CASE(개념적으로 정확하게 수화로 표현하는 영어), Ameslish(미국수화 특유의 관용적 표현에서 약간 일탈) 2)손짓기호영어(Manually Coded English) : 손짓 형태의 엉어를 기호화하는 창안된 체계를 총칭하는 어휘다. - SEE1, SEE2, LOVE, 손짓영어, 수화로 표현된 영어 *‘RIG.. 2023. 6.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