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화통역사시험

수화통역사 시험 국어의 이해

by 수화애 2023. 6. 14.
반응형

2010국가직국어.hwp
0.06MB
2010상반기국어.hwp
0.06MB
2011국가직국어(인).hwp
0.06MB
2012국가직국어-인.hwp
0.06MB
2012상반기국어-A.hwp
0.06MB
2012하반기국어(9급)-B.hwp
0.06MB
20111상반기국어-A.hwp
0.06MB

1. 자음1. 자음의 명칭

: 한글 자음의 명칭은 기역과 시옷만 빼면 다른 것들은 ‘-이으-’ ‘- 앞과 ‘-아래 받침으로 해당 자음을 넣으면 된다.

 - 기역,  - 니은,  - 디귿,  - 리을,  - 미음,  - 비읍,  - 시옷,

 - 이응,  - 지읒,  - 치읓,  - 키읔,  - 티읕,  - 피읖,  - 히읗

 

* 현재 자음 14, 모음 10.  24자로 구성. 훈민정음 창제당시에는 자음, 모음 합하여 28였으나 중간에

자음 3((여린 히읗), (반치음), (옛이응)), 모음 1((아래 아))가 소실되어 24만 남음)

 

 

2. 국어사전 찾는 방법 : 우리말은 첫소리(자음), 가운뎃소리(모음), 끝소리(받침)로 구성됨

(1) 첫소리(자음)의 순서 : ,,,,,,,,,,,,,,,,,,

(2) 가운뎃소리(모음)의 순서 : ,,,,,,,,,,,,,,,,,,,

(3) 끝소리(받침)의 순서 : ,,,,,,,,,,,,,,,,,,,,,,,,,

 

) 향기  화훼  회화  후손

 

 

3.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 규정

(1) 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예외 - 단어이지만 붙여 쓰는 것이 의존 형태소인 조사이다.)

 

(2) 41항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꽃이 꽃마저 꽃밖에 꽃에서부터 꽃으로만

거기도 멀리는 웃고만

 

(3) 42항 의존명사(불완전명사)는 띄어 쓴다.

아는 것이 힘이다. 나도 할 수 있다. 먹을 만큼 먹어라.

아는 이를 만났다. 네가 뜻한 바를 알겠다. 그가 떠난 지가 오래다.

 

(4) 43항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한 개 차 한 대 금 서 돈

소 한 마리 옷 한 벌 열 살

조기 한 손 연필 한 자루 버선 한 죽

집 한 채 신 두 켤레 북어 한 쾌

 

(5)  44항 수를 적을 적에는 '()' 단위로 띄어 쓴다.

십이억 삼천사백오십육만 칠천팔백구십팔

12 3456 7898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다.

두 시 삼십 분 오 초(0) / 두시 삼십분 오초(0)

삼 학년(0) / 삼학년(0)

 

(6) 45항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말들은 띄어 쓴다.

국장 겸 과장 열 내지 스물 청군 대 백군

 

(7) 46항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다.

그 때 그 곳(0) / 그때 그곳(0)

좀 더 큰 것(0) / 좀더 큰것

 

(8) 47항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ᄀ을 취하고 ᄂ을 허용함)

ᄀ ᄂ

불이 꺼져 간다. 불이 꺼져간다.

내 힘으로 막아 낸다. 내 힘으로 막아낸다.

어머니를 도와 드린다. 어머니를 도와드린다.

그릇을 깨뜨려 버렸다. 그릇을 깨뜨려버렸다.

비가 올 듯하다. 비가 올듯하다.

그 일은 할 만하다. 그 일은 할만하다.

일이 될 법하다. 일이 될법하다.

비가 올 성싶다. 비가 올성싶다.

잘 아는 척한다. 잘 아는척한다.

 

다만, 앞말에 조사가 붙거나 앞말이 합성 동사인 경우, 그리고 중간에 조사가 들어갈 적에는 그 뒤에 오는 보조 용언은 띄어 쓴다.

잘도 놀아만 나는구나! 책을 읽어도 보고

네가 덤벼들어 보아라. 강물에 떠내려가 버렸다.

그가 올 듯도 하다. 잘난 체를 한다.

 

(9) 48항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

김양수(金良洙) 서화담(徐花潭) 채영신 씨

최치원 선생 박동식 박사 충무공 이순신 장군

 

다만, 성과 이름, 성과 호를 분명히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띄어 쓸 수 있다.

남궁억/남궁 억 독고준/독고 준

황보지봉(皇甫芝峰)/황보 지봉

 

(10) 49항 성명 이외의 고유 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단위별로 띄어쓸 수 있다.

연세 대학교 문과 대학 국어 국문 학과(원칙)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허용)

 

(11) 50항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 있다.

중거리 탄도 유도탄(0) / 중거리탄도유도탄(0)

관상 동맥 경화증 / 관상동맥경화증

이산화 규소 / 이산화규소

 

 보조어간은 붙여쓴다.

)  

 

4.‘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 경우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 말이 모음으로 끝난 예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 고랫재,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날갯짓

 

 뒷말의 첫소리 ', '앞에서 ''소리가 덧나는 것 (ᄂᄂ, ᄂᄆ으로)

) 멧나물, 아랫니, 텃마당, 아랫마을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 '' 소리가 덧나는 것

) 도리깻열, 두렛일, 뒷일, 베갯잇, 나뭇잎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 말이 모음으로 끝난 예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 귓병, 머릿방, 전셋집, 아랫방, 횟가루

 

 뒷말의 첫소리 ','앞에서 '' 소리가 덧나는 것

)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ᄂᄂ' 소리가 덧나는 것

)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