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화통역사시험교재3

(수화자격증)청각장애인의 이해 요약 청각장애인의 이해  제 1장. 의학에서의 이해 1. 청기의 구조 가) 외이    a. 이개(귓바퀴) - 누두모양, 울퉁불퉁한 얇은 탄성연골    b. 외이도 - 이갑개강에서 고막에 이르는 관 나) 중이    a. 고막 - 외이도와 고실 사이에 위치하는 얇은 막, 0.1mm 정도의 타원형, 100mm Hg 압력에 견딤    b. 고실(중이강) - 외이와 내이 사이에 측두골 속에 위치하는 공기가 차 있는 공간    c. 이소골 - 고실 내에 위치하며 전음기능을 함, 추골(망치뼈), 침골(모로뼈), 등골(등자뼈)    d. 이내근 - 내이를 강한 음에서 보호하는 역할. 고막장근, 등골근이 있다.    e. 이관(구시관) - 이관 고실구에서 하비갑개에 비인강 외측벽에 연결    f. 측두골 - 외이, 중이, 내.. 2023. 8. 31.
수화통역사 시험 참고서 장애인복지 장애인복지 일반적으로 ‘장애인복지’라고 하면 연약하고 상처받고 장애가 있는 소외된 사람을 도와주고 사랑을 베푸는 일이라는 생각들을 한다. 하지만 실은 장애가 약점이나 무능력이 아니라 장애자체가 장점이며 도구이고 기회가 되는 경우가 더 많다. 더욱이 1990년대 말부터 우리 사회에서도 장애당사자주의가 장애인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면서 장애인의 궁극적인 인간다운 삶의 질 보장과 향상은 재활을 통한 복지의 실현이라는 당위와 이론을 토대로 혁신적으로 현실화되고 있다(이준우 외, 2004). 쉽게 말하면, 장애당사자 중심의 장애인복지가 구현되고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재활을 통한 사례관리’라고 말할 수 있는 장애인복지실천을 통해서 우리가 그동안 소망해왔던 장애인의 진정한 정상화와 사회통합이 이루어.. 2023. 6. 22.
수화통역사 시험준비 장애인복지 장애인복지 - 장애인복지실천 방법과 기술 - 첫 번째 방법과 기술: 사례관리와 재활상담 1. 사례관리 장애인복지실천 현장에서의 사례관리는 만성적이고 복합적인 욕구를 지니고 있는 장애인 클라이언트에게 다양한 서비스 자원을 효율적으로 연결시켜 클라이언트에게 지속적 보호를 제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이준우, 2005a). 1) 사례관리의 목적 사례관리의 목적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문선화 외, 2005). ①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된 보호의 계속성 강화 보호의 계속성은 횡단적 측면과 종단적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는데, 특정 시기에 개인에게 포괄적이며 조정이 이루어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횡단적 차원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 포괄적이며,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2023. 6.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