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화통역사시험

수화 자격증 4회 청각장애인 이해

by 수화애 2023. 5. 15.
반응형

 

1. 청신경 기관 / 내이 : 측두골 추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형태와 구조가 복잡하여, 미로라고도 부르는 기관
2. 이명 ; 귀 밖에 음원이 없이 귀에서 소리를 느낄 는 것
3. 임피던스 청력검사 : 중이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규명하는 검사
4. 이소골 : 전음기능  
5. 난청의 종류 ; 감각 신경성 난청 : 와우각의 미발육 상태가 많다. / 보청기의 착용이 어렵다. '/ 약물에 의해 생길 수 있다. / 선천적인 경우가 많다.
6. 음성기관 : 발동기관, 발성기관, 조음기관, 공명기관
7. 최소가청역치 : 주파수별로 음을 겨우 들을 수 있는 음압의 크기
8. 장애 계층구조(국제장애분류시안) : 의학정 장애, 기능적 장애, 사회적 장애
9. 보청기를 발명한 사람 : 벨
10. cros형 보청기 : 편측성 난청이 있을 때 잘 안들리는 쪽의 소리를 증폭하여 잘 들리는 귀로 듣게 하는 보청기
11. 보청기 착용이 필요한 청력 손실의 수치 : 30dB
12. 인공내이 : 수분이나 땀에 약한 마이크로폰, 스피치프로세서는 코드가 끊어지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 인공내이의 전극부는 전자파나 자기 등의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 한번 인공내이를 시술하면 보청기로 전화하기 어렵다. /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인공내이보다고 더욱 발전한 것이 개발되었더라도 교환하지 않는 것이 좋다.
13. 보청기의 기본구조 : 마이크로폰의 목적은 음파에 의해서 전달된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바꾸는 것이다. / 증폭기는 주파수 특성을 변화시킨다든지 필요한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조절한다. / 이어폰은 전기신호를 음으로 변화시킨다. / 귀걸이형 보청기 ? , 무지향성 보청기?
14. 토털커뮤니케이션 - 2중 언어 문화 접근
15. 토털커뮤니세이션 제창자는 홀콤
16. 레뻬 - 수화법인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하여, 자연수화의 기초 위에 모국어의 어법을 적용
17. 제 7차 청각장애 특수교육 교육과정 기본 정신 - 열린교육, 학생중심, 질적교육의 보장
18. 자연적인 수화는 하나의 언어이다. - 1991년 동경에서 열린 제 11회 세계농아인대회  선언
19. 수화 알파벳을 창안한 사람(소리의 단순화와 농아의 언어교수법 발간' - 보네
20. 이익민 - 홀 여사가 농교육을 위해 중국으로 보낸사람
21. 통합법 - 해석주의 패러다임
22. 통합교육 - 장소, 사회적, 교육과정의 통합
23.제7 차 교육과정에서 청각장애학생을 위해 편찬한 교과서 - 언어
24. 유길준 서유견문, 아인원 보고서 내용 - 농과 아를 다른 개념으로 보았다. ? / 읽기, 쓰기 등을 포함한 의사소통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청각장애의 원인과 의학적 견해를 기술하였다. / 구화교육과 기자재의 활용에 관해 기술하였다.
25. 구화주의 방법 - 청능훈련, 큐드스피치, 촉각-근운동법 / 로체스터법 ??
26. G.BELL - 시화법, HEINICKE - 구화법, DE I;EPEE - 수화법, PONCE DE LEON ???, 촉각법???
27. 청각장애 아동의 문어에서 나타나는 오류 유형 - 생략, 치환, 왜곡
28. 난청 아동의 심리적 특성 : 충동적, 고집성, 자기중심성
29. 청각장애아 조기 발견에 있어서 행동반응 - 이름을 불러도 돌아보지 않는다. / 걸을 때 발을 끈다. / 일간에게 보다 물건에 더 흥미를 가진다.
30.구화법 : 청각장애아동의 잔존청력 개발을 기저로 하는 언어지도
31.청능훈련의 발달 과정에서 논의된 주요쟁점 : 청능훈련은 가능한 한 조기에 실시되어야 한다. /  언어의 리듬이 우선, 청력손실과 기관에 따라서 보청기 유무를 결정. 청력손실의 정도에 따라 청각정 단서와 감각 단서를 적절하게 사용해야 한다.
32. '수화' 책 - 1963년 국립서울농아학교에서 제작
33.수화의 전달체계 -= 시각, 수지
34. 스토우키 - 수화의 시각적 볌별 단위 '수화소'개념 사용
35. 한글식수화 - 수화의 기호와 지문자를 병용하여 문장을 국어 문법에 맞게 표현
36. 수화요소 : 손의 모양, 위치, 움직임
37. 화용론 - 언어가 실제로 쓰이거나 쓰이는 방식을 연구
38. GESTUNO - 국제수화, 에스페란토, 공통어휘의 집합체 , 문법이 없다.???/
39. 미국문법적 수화 유형 - SEE,PSE,ME,      ASL?>??
40. 조선농아협회 - 1946년 조직된 농아협회 명칭
41. 한국 자막방송 실시 연도 ; 1999년
42. CISS - 국제농아인 스포츠위원회
43. 폐쇄자막 - 화면에 자막이 나오지 않으나 자막수신기를 연결할 때만 나타나도록 특수하게 고안된 장치
44. 청각장애인 재활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 의사소통
45. 장애인의 장벽 - 의사소통의 장벽, 건축물의 장벽, 태도의 장벽
46. 수화통역사의 윤리 - 보안유지
47. 장애인 교통교금 혜택 -  국내선 항공료 50%
48. 한국에서 이루어진 조직적인 수화 보급의 효시가 된것은 - 수화 강습
49. 수화통역에 대한 기본적인 요구 - 수화에 대한 바른 인식과 이해를 위한 훈련, 언어와 의사소통에 대한 바른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통역 훈련, 윤리성에 바탕을 둔 직무훈련
50. 상담이론을 인간중심적 접근으로 시작한 사람은 - 칼 로저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귀의 구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귀는 청각과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크게 3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로 외이가 그 한 부분입니다.

 

1. 외이(Outer ear)

 

 

외이는 위의 그림처럼 '귓바퀴' 그리고 '외이도'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귓바퀴는 연골로 이루어져 있고, 귓바퀴 중심에는 이개가 위치해 있어 외이도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외이도는 귓바퀴에서 시작하여 고막에 이르기까지 약 25~35mm 정도의 길이를 가진 짧은 관형태의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기능을 보자면

 

외이도는 'S'모양으로 2번의 휘어짐이 있어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쉽게 들어가지 못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또한 외이도에는 털과 약 4000개의 피지선이 있어 먼지나 세균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방어를 해주는 역할도 하게 됩니다.

이 피지선에서는 윤활유를 사용해 이물질을 귀지로 만들어 밖으로 밀어내는 청소 기능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이 외이의 역할은 소리를 모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요. 

귓바퀴와 외이도에서 소리를 모아주어 고막으로 전달하게 됩니다.

뿐만아니라 소리의 위치 분별 기능도 있습니다.

소리의 위치 또는 방향 지각 능력은

양 귀에 도달하는 강도와 시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외이도는 이러한 역할을 행하게 됩니다.

 

2. 중이(Middle ear)

 

 

 

위 사진에서 보이듯이 중이는 해부학적으로 외이와 내이 사이에 위치하며 '고막', '이소골', '이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이는 공간이 공기로 가득 차 있습니다.

 

또한 외이의 음향학적 신호를 내이의 전기적 신호로 바꿀 수 있도록 중간다리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것은 외이의 음향학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하여 내이를 자극하는 방식인데

 

즉, 외이의 음향학적 에너지가 고막에 진동을 주게 되고 이 고막의 진동은 맞닿아 있는 이소골에 전달되어

(이소골은 추골, 침골, 등골 이 세 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세 뼈들의 움직임인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됩니다.

이 기계적 에너지가 달팽이관에 소리를 전달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중이가 없다면

외이를 통해 들어오는 소리는 전달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에너지가 상실하게 되고

소리를 제대로 온전히 들을 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중이에는 큰 소리로부터 귀를 보호하는 역할이 있는데요,

간혹 대형 스피커 앞에서나 매우 시끄러운 장소에서 갑자기 큰 소리를 듣게 되면 

등골근이라는 등골 주변을 감싸는 근육이 수축하여 내이를 보호합니다.

 

 

다음으로 중이강과 이관은 공기로 가득 찬 중이 내부에 진물이나 이물질이 발생할 시

코로 연결해주어 이물질을 빼내어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3. 내이(Inner ear)

 

 

내이는 평형감각과 공간지각을 책임지는 전정기관(세반고리관)과 청각을 책임지는 달팽이 모양의 와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와우는 달팽이처럼 생겨서 달팽이관으로도 불리는데 사람의 와우는 약 35mm이고 2.75바퀴의 회전은 보이고 있습니다.

 

 

사진에서 보면 숫자들이 보일텐데요. 저 숫자들은 주파수(Hz)를 나타냅니다.

와우는 처음 시작인 기저부(base)를 시작으로 끝부분인 첨단부(Apex)로 이루어져 있어

그 해당 주파수에 소리가 들어오면 와우의 hair cell들이 반응을 하게 됩니다.

기저부 면적은 넓은 반면 첨단부로 올라갈수록 면적이 좁아지게 되는데요.

기저부에서 첨단부로 갈수록 저주파의 음을 감지하게 되는 것입니다.

 

나이별 청력테스트라고 가청주파수 보신 적 있으신가요?

10대 이하: 약 19,900Hz

10대 초반: 약 18,800Hz

10대 후반: 약 17,700Hz

20대 초반: 약 16,700Hz

20대 중반: 약 15,800Hz

20대 후반: 약 14,900Hz

30대: 약 14,100Hz

이러한 수치인데요. 보시는 바와 같이 어릴수록 고주파 영역의 음을 잘 감지하고 나이가 들수록 고주파 영영의 음 감지가 힘들어집니다.

와우의 시작인 기저부에서 제일 먼저 음을 감지하고 기저부쪽은 고주파 영역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제일 먼저 가장 큰 소리를 듣게 되고 자주 소리에 노출이 되다보니 고주파 영역의 청력손실이 제일 먼저 발생하게 된다고 합니다.

 

와우는 구조적으로 윗부분인 전정계(scala vestibuli), 중간 부분인 중간계(scala media), 아랫 부분인 고실계(scala tympani) 이 세 가지 구획으로 나누어집니다.

전정계와 와우관은 레이스너 막에 의해 구분되고 와우관과 고실계는 기저막에 의해 구분 되어집니다.

 

 

기저막 위에는 유모세포들이 있는데 안쪽에 세포들을

내유모세포(inner hair cell)라 하고 바깥쪽에 위치한 세포들은 외유모세포(outer hair cell)라고 합니다.

 

 

내이의 기능을 보자면 중이와 청신경 또는 뇌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여 중이의 기계적인 반응을 전기신호로 전환하여

청신경 또는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정상적인 내이는 아주 시끄러운 소리는 증폭을 약화시켜 시끄러운 소리로부터 귀를 보호하고

아주 작은 소리는 증폭을 시켜 잘 들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

반응형